생각 / / 2022. 8. 22. 13:30

[초사고 글쓰기 14일차] 무조건 계획을 지키는 법 6가지 (feat.넛지)

반응형

앞서 초사고 글쓰기 13일차에는 계획을 지키기 힘든 이유를 서술했다. 그러던 중에 유튜브 '너진똑'에서 넛지를 리뷰하는 영상이 너무 정리가 잘 되어있어서 개인적으로 기록할 겸 여기에 요약을 적어보려 한다.

 

넛지란?

우리는 비효율적이지만 합리적인 수동 뇌와 효율적인 자동 뇌를 가지고 있다. 자동 뇌는 에너지를 적게 쓰는 대신 세세한 부분에서 오류가 잦은데, 이 오류를 이용하여 사람의 선택지를 간접적으로 컨트롤 하는 것이 바로 넛지이다. 먹는 음식의 배치를 바꾼다던지, 읽는 글의 폰트, 순서 등 사소한 것을 바꾸는 것이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넛지는 타인에게 사용하여 구매를 유도하거나 호감적인 인상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오늘 글의 주제처럼 넛지를 자기 자신에게 사용하면 자기도 모르게 계획을 지키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복잡한 선택 구조화하기

길 위에 놓인 작은 돌맹이 하나는 정말 작지만 길을 건너지 않는 이유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계획도 복잡하고 실행하면서 생각해야할 점이 많다면 실행에 꺼려진다. 목적 달성을 위해 해야할일을 최소화 해야한다. 사람은 일단 실행하면 하던 일을 계속 하려는 관성이 있으므로 최대한 단순하게, 계기만 제공해야 한다. 또한 애매하게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 하지말고, 하나만 실행하는 것이 좋다.

 

안좋은 계획 예시

아침먹고 책 읽고 독후감쓰기

 

좋은 계획 예시

아침먹고 책 펼치기

 

 

디폴트값 정하기 (+일상과 접목시키기)

운동을 하고 싶으면 집이 아니라 헬스장에 가라. 헬스장에는 운동이 '디폴트'이기 때문이다. 그곳에서 넷플릭스를 보며 뒹굴거리기 쉽지 않다. 헬스장에서는 모두가 운동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변에 운동 잘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동기부여도 얻을 수 있다. 정량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보다 실행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세우는 편이 심리적 저항감이 덜하다. 

 

일상과 접목시키는 방법도 좋다. 샤워도구를 헬스장에 두고 다니는 것이다. 샤워를 집에서 하지 않고 헬스장에서 실행한다. 샤워를 하기 위해 헬스장에 왔다면 기왕 온김에 운동도 하게 되는 것이다. 내가 매일 하는 일에 추가적인 행동을 붙이면 그것 역시 나의 디폴트 값이 되는 것이다. 

 

안좋은 계획 예시

1시간 운동하기

 

좋은 계획 예시

일단 헬스장 가기헬스장에서 샤워하기

 

 

오류 예상하기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일이 틀어질 경우에 대비책을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 계획을 실행하는 자동 뇌 입장에서는 사소한 걸림돌이 의욕을 상실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헬스장이 문을 닫았을 경우, 아침에 늦잠잤을 경우 해야할 행동패턴을 정해 놓자. 하루 계획을 망치지 않고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좋은 계획 예시

헬스장 가기 (문닫으면 도서관가기)

아침에 책읽기 (늦잠자면 일단 일어나서 씻기)

 

 

피드백 제시하기

계획을 잘 지키고 있는지 주기적으로 물어봐주는 환경을 마련하자. 모닝콜 알람문구에 '책은 펼쳤니?' 라고 써두든지, 퇴근 타이밍에 맞춰 '헬스장가기'라고 울리는 알람을 설정하는 것이다. 넋놓고 있으면 시간은 계속 흘러가기 때문에 중간중간 계획이 잘 지켜지는지 신호를 보내주는 것이 좋다.

 

 

인센티브

계획을 달성해야 하는 동기를 자신에게 선물하자. 단기적 보상도 좋다. 하지만 우리는 본능적으로 손실을 회피하는 경향이 더 크다. 계획을 못지키면 손해를 볼 수 있게끔 환경을 만들자. 대표적으로 '공언하기'가 있다. 목표를 지킬거야! 라고 여러 사람앞에 말하면 창피를 당하지 않기 위해 행동하는 것처럼 말이다. 대표적으로 유튜버 침착맨이 금연을 하기위해 1000만원 공약을 걸은 예시가 있다. 

 

자신이 정말 그래도 의지가 안생긴다면 너진똑 유튜브에서 말한 것처럼 '내기 계약서'를 작성하는 방법도 있다. 계획을 실행하지못하면 침착맨처럼 1000만원은 아니더라도 자신에게 치명적인 금액을 지불하는 것이다. 이것을 어플리케이션으로 만든 '챌린저스' 앱을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결과를 미리 예상하기

공부를 하면 어떻게 되는지, 운동을 하면 사람들이 자신을 대하는 방법이 어떻게 바뀌는지 예상하는 것이다. 이때 매우 구체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목표가 확실하고 구체적일수록 실행하는데 좋은 동기부여가 되기 때문이다.

 

 

이상 6가지 넛지 전략이었다. 출처는 너진똑 (너 진짜 똑똑하다) 유튜브에서 대부분 가져왔다. 사실상 영상의 요약본이라고 봐도 좋다. 나도 알고만 있고 실행하지 못하던 전략들이 있어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정말 좋은 영상이니 꼭 한번 시청하는 것을 추천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