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 / 2022. 9. 22. 16:17

채권에 투자? 투자론적 관점에서 채권의 특징 정리!

반응형

Thumbnail

 

채권이란?

채권을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사고팔 수 있는 빚문서' 입니다. (출처:나무위키) 발행하는 주체는 주로 기업이나 국가같이 개인보다 신용도가 훨씬 큰 곳입니다. 

 

 

시장의 입장에서 돈을 거래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크게 2가지입니다. '언제까지' 갚을 것인가, 그리고 '이자'는 얼마나 줄 것인가입니다. 채권 역시 채무를 다루기 때문에 [발행이율]과 [만기]가 존재합니다.

 

 

채권시장은 화폐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보다도 더 장기에 걸쳐 거래되는 차입또는 채권형 상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영어로 bonds라고 불리는 채권은 회사채, 부동산저당증권(mortgage securities), 재무성채권(Treasury notes and bonds), 지방정부채권(municipal bonds), 기타 연방정부기관채권(federal agency debt)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들 증권은 대부분이 확정된 소득의 흐름 또는 정해진 공식에 따라 결정되는 소득의 흐름을 약속하기 때문에 '고정소득자본시장(fixed-income capital market)'을 형성한다고 정의되고는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공식들이 때로는 고정소득과는 거리가 먼 소득흐름을 가져다 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고정소득(fixed-imcome)'이라는 용어 대신 채무증권(debt instrument) 또는 채권(bond)이라고 불리게 됩니다. 

 

 

채권의 종류

1. 중기 및 장기 재무성 채권 

    미국 정부는 중기 재무성채권(Treasury note, T-note)과 장기 재무성채권(Treasury bond, T-bond)을 매각하여 차입자금의 대부분을 조달합니다. 중기의 만기는 10년 미만이가ㅗ 장기는 10년에서 30년 사이의 만기로 발행됩니다. 이들 채권의 액면가는 모두 $1000 혹은 그 이상으로 발행되며  반년마다 액면이자(coupon payment)를 지급합니다. 영문명에 'coupon'이 들어간 이유는 컴퓨터가 존재하기 전, 투자자는 채권에 붙어있는 쿠폰(coupon)을 떼어 발행기업의 대행은행에 쿠폰을 제시하고 이자를 받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2. 인플레이션 연동 재무성채권

    미국을 포함한 전세계의 다양한 나라의 정부는 인플레이션이 진행됨에 따라 돈의 가치가 줄어드는데에서 시민들의 손해를 줄이기 위해 생계비 지수에 연동된 채권을 발행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인풀레이션 연동채권을 TIPS(Treasury Inflation-Protected Securities)라고 부릅니다. 이 채권의 원금은 소비자 물가지수에 비례하여 조정됩니다. 따라서 10년 같이 긴 시간동안 만기까지 채권을 보유한 경우에도 투자자가 얻는 실질 이자율은 위험이 없습니다. 그러나 위험성이 매우 낮은 만큼 이 채권의 수익율 역시 다른 재무성채권들보다 낮게 책정되어있습니다. 

 

 

3. 연방정부기관채권

    정부 산하기관 중 일부는 소요자금 조달을 위해 자신의 이름으로 증권(Federal agency debt)을 발행합니다. 연방정부 기관채권을 발행하는 주체는 연방주택대출은행(Federal Home Loan Bank:FHLB), 연방주택저당대출조합(Federal National Mortgage Association:FNMA), 정부주택저당대출조합(Government National Mortgage Association:GNMA), 연뱅주택대출담보공서(Federal Home Loan Morgage Corp:FHLMC) 등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연방주택저당대출조합(FNMA), 정부주택저당대출조합(GNMA), 연방주택대출담보공사(FHLMC)는 각각 Fannie Mae, Ginnie Mae, Freddie Mac이라고 불립니다. 이름에 별다른 의미는 없고 "FN"이라 Fannie, "GN"이라 Ginnie라고 불리기부터 시작했습니다. 그럼 Freddie 역시 FHL에서 따온것일텐데 앞에 두개에 비해 연관도가 떨어집니다. 사실 Freddie 보다 뒤에 Mac (MC)을 붙임으로서 앞의 두 기관(Mae, MA)과 구별지은 부분이 있고 Freddie는 억지로 만든 이름이 널리 쓰이다보니 고착화된 경향이 큽니다. 

 

 

4. 국제채권

    많은 기업들은 외국에서 차입을 하며, 많은 투자자들은 외국 발행자로부터 채권을 매입합니다. 국내 자본시장 이외에도 런던을 중심으로 왕성하게 번창하는 국제 자본시장이 있는데, 여기서 국제 채권이 발행됩니다. 유로채권(Eurobond)은 그 채권이 발행되는 국가 이외의 통화로 표시되어 발행되는 채권입니다. 예를들어, 영국에서 달러화 표시 채권을 발행했다면 이를 유로달러채권이라고합니다. 마찬가지로 일본에서 발행된 엔화표시 채권은 유로엔 채권입니다. 유럽의 통화 유로와는 크게 연관이 없다는 점을 주의하세요! 이름만 유로채권일 뿐 실제 정의는 국제채권(international bond)과 동일합니다. 

    

 

5. 지방정부채권

    지방정부채권(municipal bonds:munis)은 주정부와 지방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재무성채권이나 회사채와 유사하지만 이자 수입이 연방정부의 과세대상이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지방정부채권을 발행한 주 안에서는 이자수입에 대한 주정부세와 지방정부세가 모두 면제됩니다. 그러나 이는 미국세법에 기인한 것이므로 우리나라의 세법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6. 회사채

    민간기업이 일반대중에게서 직접 현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채권의 존속기간 동안 반년마다 액면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에 채권 소유자에게 액면가를 상환한다는 점에서 재무성증권과 매우 비슷합니다. 다만, 재무성채권 가장 중요한차이는 채무불이행 위헙이 있다는 점입니다. 재무성과는 다르게 회사는 파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치며

<기본투자론>에서 배우는 개념은주로 미국 연방정부와 재무성의 상품에 대해 다루기 때문에 한국의 법으로는 적용되지 않는 부분이 다소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채권이라는 것이 결국에는 돈을 빌려주고 받는 행위에서 파생한 상품이며, 많은 나라의 증권시장이 미국의 시장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증권시장을 배워두면 분 해외에 직접 투자할때도, 한국에 투자를 이어나갈때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