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 / 2022. 9. 26. 15:39

파생상품시장 - 선물과 옵션

반응형

파생상품이란?

최근 금융시장의 가장 중요한 발전 중의 하나는 선물(futures)과 옵션(option) 시장의 성장이다. 선물과 옵션은 상품 가격이나 시장지수의 수준, 주가, 채권 가격 등과 같은 자산의 가치의 값에 따라 지급금(pay-off)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상품은 그 가치가 다른 자산의 가치로부터 파생되거나 다른 자산의 가치에 연동되어 변화하기 때문에 파생 자산(derivative assets) 또는 상황별 청구권(contingent claims)이라고 부릅니다. 

파생상품에 관한 설명은 다양한 형태로 있었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이해가 빨랐던 설명은 영화 빅쇼트(The Big Short)에서 나온 예시였습니다. 예컨대 '도박을 직접 하기보다, 도박을 하는 사람에 배팅을 하는 것'이 파생상품의 근간이라는 내용입니다. 포커를 두고 있는 선수 A를 보며, B라는 사람이 A의 승리에 배팅을 하는 셈이죠. 여기서 더 나아가 B가 A의 승패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지 배팅하는 C가 등장하면 어떻게 될까요? 이처럼 파생상품은 그 근간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상품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고, 파생상품에서 파생하는 다른 상품 역시 있을 수 있습니다. 

 

 

옵션

옵션은 콜옵션(call option)과 풋옵션(put option)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콜옵션은 정해진 만기일이나 그 이전에 행사 가격(exercise price or strike price)이라고 불리는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해당 자산을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옵션 계약 한 단위는 100주 매입을 의미하고, 호가는 1주당 가격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200인 23년 1월 만기 애플 콜옵션은 소유자가 2023년 1월 만기일 또는 그 이전에 어느 때나 애플의 주식을 주당 $200에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합니다. 

시장 가격이 행사 가격보다 높은 경우 옵션 보유자는 행사 가격에 그 자산을 '불러와서(call away)' 주가와 행사 가격 간의 차액에 해당하는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앞서 보여드린 애플의 예시로 2023년 1월 애플의 주가가 $220일 경우 옵션의 소유자는 $20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애플의 주가가 $190로 행사 가격보다 낮을 경우 콜옵션 보유자는 콜을 반드시 행사하지 않아도 됩니다. 매입할 자산의 시장 가격이 행사 가격보다 높은 경우에만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보편적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만기일 행사되지 않은 옵션은 권리가 소멸되고 가치는 없어집니다. 따라서 콜은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강세장에서 이득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입니다.

풋옵션은 정해진 만기일 또는 그 이전에 해당 자산을 정해진 행사 가격으로 팔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0인 23년 1월 만기 애플 풋옵션은 소유자가 2023년 1월 만기일 또는 그 이전에 어느 때나 애플의 주식을 주당 $100에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합니다. 콜옵션과는 반대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자산가치가 하락할 때는 풋옵션으로부터의 이익이 늘어납니다. 풋의 보유자는 행사 가격을 받는 대신 행사 가격보다 가치가 낮은 자산을 인도(deliver) 해 줄 수 있는 경우에만 풋옵션을 행사합니다. 

옵션의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은 크게 2가지 입니다. 바로 행사 가격과 만기까지의 남은 시간입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200인 23년 1월 만기 애플 콜옵션은 $180인 23년 1월 만기 애플 콜옵션보다 가격이 낮습니다. 22년 9월 현재 애플의 가격은 150 임을 감안했을 때 내년에 $180를 찍을 확률이 $200을 찍을 확률보단 아무래도 높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행사 가격이 낮아질수록 비싸지는 콜옵션과는 반대로 풋옵션은 행사 가격이 낮아질수록 가격이 상승합니다. 다음으로 권리행사 종료일이 23년 1월인 옵션은 풋옵션과 콜옵션 모두 권리행사 종료일이 22년 10월인 옵션보다 가격이 높습니다. 사람들이 아무래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이 많이 남은 옵션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에서 옵션의 가격은 만기까지의 남은 기간과 함께 증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선물계약

선물계약(futures contract)은 정해진 인도일(delivery date) 또는 만기일에 어떤 자산을 인도해주는 대신, 선물 가격(futures price)이라고 불리는 가격을 받기로 약속하는 것입니다. 인도일에 상품을 매입하기로 한 거래자는 매입 포지션(롱포지션, long position)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고, 매도 포지션(숏포지션, short position)을 취한 거래자는 계약 만기에 그 상품을 인도해주어야 합니다. 선물계약에 사용되는 자산은 매우 다양합니다. 선물계약에 사용되는 자산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옥수수, 원유, 천연가스, 금속 등이 있습니다. 

매입(long) 포지션에 있는 사람들은 자산의 가격이 상승하면 이익을 얻습니다. 예를 들어, 만기일에 옥수수가 부셜(곡물의 부피를 세는 단위, 1 부셜 = 약 35.24 리터) 당 $5에 거래되고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과거 선물 가격 $4.5에 계약을 맺은 매입 포지션의 투자자는 $5의 가치를 가진 옥수수 1 단위에 대하여 미리 약정한 $4.5를 지불할 수 있습니다. 옥수수의 경우 계약 한 단위당 5,000부셜을 인도해야 하므로 중개수수료를 무시할 때 매입포지션에 따른 이익은 5,000 * ($5 - $4.5) = $2,500이 됩니다. 반대로, 매도 포지션은 미리 약정한 선물 가격을 받고 5,000부셜을 인도하 주어야 합니다. 매도 포지션의 손실은 매입포지션의 이익과 동일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